대덕산11 백두대간 금대봉 분주령 야생화 트레킹 [참취] [진범] [꽃봉우리 이름 아리송..?] [개미취]꽃말 : 추억 [분주령 개미취 군락지] [동자꽃] [며느리밥풀꽃] [둥근이질풀] [노랑물봉선화] 20240828백두대간 두문동재 금대봉 분주령 2024. 9. 16. 백두대간 야생화 트레킹 꽃말 : 연정 각시취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원산지는 대한민국이고, 동북시베리아나 내몽고에 분포해 있다꽃은 8월에서 10월에 걸쳐 핀다.꽃 담은곳 : 백두대간 금대봉 분주령 20240828 굿은비는 부슬, 부슬 내리고 운무와 안개는 온 산야를 휘감아 돌고,아름다운 백두대간의 함백산, 매봉산 등등 천상 화원 풍경은 아쉽게도 암흑 천지라 조망할수가 없네요..!! 2024. 9. 9. 흰물봉선화 20240828꽃 담은곳 : 백두대간 두문동재 금대봉 분주령 야생화 트레깅 2024. 9. 2. 흰일월비비추 안튼 희귀종인 듯 하다..? 오늘 이곳 두문동재 금대봉에서 난생 처음 보는것 같으다 20230730 금대봉 2023. 8. 11. 백두대간 야생화 탐방 큰뱀무꽃과 상제나비 꽃쥐손이 와 상제나비 태백 기린초 노루오줌 미나리아재비 초롱꽃 갈퀴나물 범꼬리 당귀 함박꽃 나무(산목련) 북한의 국화이며, 고` 김일성 주석이 젤 좋아하는 꽃이 라네요 그래서 북조선 인민국화국 국화로 지정 되었나 보네요 !! 20230623 두문동재 금대봉 고목나무 샘 2023. 7. 4. 큰뱀무꽃 꽃말 : 만족한 사랑 큰뱀무는 키나 잎이 뱀무보다 약간 크다 또 작은 꽃자루에 퍼진 털이 있는 것이 뱀무와 다른 점이다 여기에서 ‘뱀’ 은 뱀과 관련이 있거나, 기준을 삼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르다는 뜻이다 또 줄기 밑에 달리는 잎의 생김새가 무 잎처럼 생겨 뱀무라고 한다. 20230623 꽃 담은곳 : 백두대간 금대봉 2023. 6. 28. 각시취 각시취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 원산지는 대한민국이고, 동북시베리아나 내몽고에 분포해 있으며, 꽃은 8월에서 10월에 걸쳐 핀다. 꽃말은, "연정`이라고 한다 20200813 금대봉 / 대덕산 2020. 8. 27. 산솜방망이 "산할아버지`, 그리움`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는 산솜방망이꽃` 오늘 난생처음으로 접하는 야생하다 꽃에 꿀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지 노랑 호랑나비, 아님 표범나비 나비인가..? 꽃에서 떠날줄 모른다 꽃말처럼 할배가 첫 상면하고 담은 고운 야생화다... ^!^ 출 사 일 : 2020.08.13 꽃 담은곳 : 백두대간 금배봉 대덕산 가는 등로에서 2020. 8. 27. 층층이꽃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층층이꽃` 네모난 줄기에 짧은 털이 있으며, 키는 50㎝ 정도 자란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줄기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분홍색의 꽃은 6~9월경 줄기 끝과 가지 끝의 마디마다 돌려나는데 층을 이루기 때문에 층층이꽃이라고 한다. 통꽃이지만 꽃부리가 4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이다. 봄에 어린순을 캐서 삶아 나물로 먹으며, 줄기와 잎을 6월경 캐서 말린 후 가루로 만들어 옴의 치료에 쓰기도 한다. 꽃말 : 제비둥지 이글의 출처 : 다음백과 daum 20200813 백두대간 금대봉 분주령 2020. 8. 27. 물레나물 2018.07.15 꽃 담은곳 : 대덕산 금대봉 생태탐방로 대덕산 정상근교[검룡소 하산등로] 물레나물 은.. 해가 잘 비치는 산기슭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는 네모지며 키가 1m까지 자라는데, 윗면은 초록색이나 아랫면은 갈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잎끝이 줄기를 싼다. 잎에는 투명한 점들이 있다. 꽃.. 2018. 7. 1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