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트레킹10 한라산 어리목 20241103 28:44한라산 어리목 탐방센타 2024. 11. 5. 영남 알프스 능동산 십 수년만에 천황산 사자봉과 재약산 정상을 찌고 사자평으로 샘물상회를 돌아서 배내고개로 원점회귀 산행을 계획했는데...?그러나 가을 향기 상큼한 여유로운 발거름 이였는데, 결과는 참으로 아쉽지만 다음을 기약해 보자...!!20241024능동산에서 2024. 10. 31. 가을 야생화 벌개취미 20241030 북천수 곡강천 2024. 10. 31. 꽃향유 학명 : Elsholtzia splendens 꽃말 : `조숙, `성숙 이름에서부터 향기가 물씬 묻어나는 꽃이다꽃이 아름다우면서 향기까지 강해 밀원식물로도 쓰인다꽃이 칫솔모양으로 한쪽방향만 보며 피며, 꽃말처럼 4-5개월이면 포기가 큰 개체로 자란다.20241024꽃 담은곳 : 영남 알프스 능동산 2024. 10. 30. 용담(龍膽) 한국(해발고도 800-1,500m), 일본에 분포한다전국 산야에서 자란다꽃말 : 당신의 슬픈 모습이 아름답다20241024영남 알프스 능동산 2024. 10. 30. 백두대간 금대봉 분주령 야생화 트레킹 [참취] [진범] [꽃봉우리 이름 아리송..?] [개미취]꽃말 : 추억 [분주령 개미취 군락지] [동자꽃] [며느리밥풀꽃] [둥근이질풀] [노랑물봉선화] 20240828백두대간 두문동재 금대봉 분주령 2024. 9. 16. 산박하 꽃말 : 추억20240828꽃 담은곳 : 금대봉 2024. 9. 11. 백두대간 야생화 트레킹 꽃말 : 연정 각시취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원산지는 대한민국이고, 동북시베리아나 내몽고에 분포해 있다꽃은 8월에서 10월에 걸쳐 핀다.꽃 담은곳 : 백두대간 금대봉 분주령 20240828 굿은비는 부슬, 부슬 내리고 운무와 안개는 온 산야를 휘감아 돌고,아름다운 백두대간의 함백산, 매봉산 등등 천상 화원 풍경은 아쉽게도 암흑 천지라 조망할수가 없네요..!! 2024. 9. 9. 고려엉겅퀴 꽃말 : 근엄, 권위, 닿지마세요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고려엉겅퀴’가 생물학적 명칭이다꽃은 엉겅퀴처럼 생겼으며 어린 순을 채취해서 나물로 먹는다곤드레나물은 독이 없고 맛이 달고 이뇨, 해독, 소염 작용이 있어 건강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이 글의 출처 : 다음백과 daum20240829꽃 담은곳 : 함백산 운탄 고도 2024. 9. 6. 백두대간의 야생화 ''놋젓가락나물꽃'' 놋젓가락은 놋쇠로 만든 젓가락을 말한다줄기가 젓가락을 닮았고, 잘 휘어져서 붙여진 이름이다지방에 따라서는 놋젓가치라고도 하는데, 젓가치는 젓가락의 사투리이다나물이라는 이름은 붙었지만 실제로 식용하지는 않으며, 단지 뿌리를 ‘초오(草烏)’라고 하는 약재로 사용한다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주로 물 빠짐이 좋은 숲 속 나무 아래에서 자라는 반그늘 식물로, 덩굴 길이는 약 2m이다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3~5갈래로 갈라지며 갈라진 잎은 앞이 뾰족하다꽃은 보라색 또는 자주색이며 8~9월에 핀다꽃의 모양은 투구 모양으로, 뭉쳐서 핀다열매는 10~11월에 맺고 5개로 나누어진 씨방에는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며 선덩굴바꽃이라고도 한다꽃말 : 적의'', 사랑을 싫어.. 2024. 9.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