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토 갤러리/야생화(동식물)

계요등(鷄尿藤)

by 들꽃 처럼 2021. 9. 7.
728x90

 

닭(계) 오줌(요) 등나무(등),  계요등 꽃말은 "지혜` 입니다

해파랑 길 18코스 청진 해안길을 걷다가 만나는데, 앙 증 맞게 예뻐요... ^^

 

어떻게 해서 ‘계요등(鷄尿藤)’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는지 그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 !!

계요등이 한창 자랄 때 잎을 따서 손으로 비벼 보면 약간 구린 냄새가 난다.

그래서 계요등의 다른 이름은 구린내나무다.

또 속명 ‘Paederia’는 라틴어의 ‘paidor’에서 유래되었는데, 역시 좋지 않은 냄새가 난다는 뜻이다. 

봄과 여름에 냄새가 더 심하고 가을이 되면 거의 없어진다.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혐오감을 줄 정도로 냄새가 지독한 것은 아니며,

더욱이 양계장에서 풍기는 진한 닭똥 냄새와 비교하여 그다지 역하지도 않다.

그러나 이름을 붙일 때는 좀 과장되기 마련이다.

우리 이름인 계요등은 글자 그대로 닭 오줌 냄새가 나는 덩굴이란 뜻이다.

중국 이름인 계시등(鷄屎藤)은 닭똥 냄새라는 뜻이다.

 

 

20210904

해파랑 길 18코스 청진리

 

 

 

 

 

 

 

 

 

 

 

 

 

'포토 갤러리 > 야생화(동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까치깨  (2) 2021.09.15
분홍 낮달맞이꽃  (0) 2021.09.07
긴꼬리 제비나비가 춤을 춘다  (0) 2021.09.01
송장풀  (0) 2021.08.27
며느리 밥풀꽃의 전설  (0) 2021.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