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토 갤러리/야생화(동식물)1232

진분홍 물봉선화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이것이 꽃말"이다  진한 분홍색 통꽃을 보면 이제 막 화장을 배우는 여인의 작은 입술처럼 아름답다!!20240828꽃 담은곳 : 백두대간 두문동재 분주령 2024. 9. 6.
백두대간의 야생화 ''놋젓가락나물꽃'' 놋젓가락은 놋쇠로 만든 젓가락을 말한다줄기가 젓가락을 닮았고, 잘 휘어져서 붙여진 이름이다지방에 따라서는 놋젓가치라고도 하는데, 젓가치는 젓가락의 사투리이다나물이라는 이름은 붙었지만 실제로 식용하지는 않으며, 단지 뿌리를 ‘초오(草烏)’라고 하는 약재로 사용한다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주로 물 빠짐이 좋은 숲 속 나무 아래에서 자라는 반그늘 식물로, 덩굴 길이는 약 2m이다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3~5갈래로 갈라지며 갈라진 잎은 앞이 뾰족하다꽃은 보라색 또는 자주색이며 8~9월에 핀다꽃의 모양은 투구 모양으로, 뭉쳐서 핀다열매는 10~11월에 맺고 5개로 나누어진 씨방에는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며 선덩굴바꽃이라고도 한다꽃말 : 적의'', 사랑을 싫어.. 2024. 9. 4.
흰물봉선화 20240828꽃 담은곳 : 백두대간 두문동재 금대봉 분주령 야생화 트레깅 2024. 9. 2.
불가의 꽃 홍련화(紅蓮華) 불교에서는 연꽃은 청정하고 고귀한 의미를 지닌 상징적인 꽃으로, 부처님의 가르침과 중생의 청정한 본성을 대표한다이러한 연꽃은 불교의 교리와 사상을 담고 있어, 불교 예술에서도 많이 등장한다 연꽃은 진흙 속에서 피어나지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청정함을 상징한다이는 중생이 번뇌에 물들어 있어도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면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음을 뜻한다부처님의 자비로운 가르침이 중생을 구제하는 모습을 연꽃이 피어나는 것에 비유한다 연꽃의 여덟 꽃잎은 부처님의 가르침인 팔정도를 상징한다팔정도는 불교에서 깨달음과 열반에 이르기 위한 여덟 가지의 올바른 길을 의미한다이러한 팔정도를 연꽃의 꽃잎에 비유함으로써, 연꽃은 불교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꽃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불교 의식과 예술에서도 연꽃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부처.. 2024. 8. 30.
투구꽃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관화식물학명은 'Aconitum ambiguum (Regel) Rchb.’이다식물의 이름은 꽃의 모양이 병사들의 머리에 쓰는 투구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꽃말 : 밤의 열림, 산까치20240827꽃 담은곳 : 백두대간 금대봉 2024. 8. 29.
동자꽃 꽃말 : 기다림20240813백두대간 2024. 8. 21.
배초향(排草香) 꽃말 : 향수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학명은 Agastache rugosa이다방아풀, 방애풀 또는 깨나물이라고도 한다특히 배초향의 잎을 건조시킨 것은 곽향이라는 이름으로 약초로 사용해왔다20240812꽃 담은곳 : 함백산 정상부 2024. 8. 19.
난쟁이바위솔 백두대간 함백산 안개를 먹고 자라는 난쟁이 바위솔 꽃말 : 근면 꽃 담은곳 : 함백산 정상[정상석 표지석 바위 틈]20240812 바위솔은 바위에 붙어 살며 잎 모양이 솔잎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수분 섭취가 쉽지 않으므로 잎에 저장을 하는데, 그래서 언뜻 보면 선인장처럼 잎이 두툼하다 바위솔은 크기가 30㎝ 정도인데, 이보다 훨씬 작은 것이 바로 난쟁이바위솔로 키는 10㎝ 정도 된다 난쟁이바위솔은 높은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안개가 많은 산의 바위틈에서 주로 자란다 잎은 줄기 끝에 모여 있으며 길이가 1.2~1.7㎝로 끝이 뾰족하다 이 글의 출처 : 야생화 백과사전 정상석 돌탑사이에 `난쟁이바위솔`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꽃몽우리 상태라 시야에 잘 보이지 않습니다..!! 함백산 정.. 2024. 8. 17.
노랑물봉선화 꽃말 :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 20240812꽃 담은곳 : 함백산 2024. 8. 14.
둥근이질풀 둥근이질풀꽃 : 여러해살이풀 둥근이질풀은 이질풀의 한 종류로 잎의 모양이 둥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4열성으로서 3-5개로 다소 깊게 갈라져 장상으로 되며 열편은 피침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이고 큰 톱니가 있다.꽃말 : 새색시 20240812꽃 담은곳 : 함백산 정상부 2024.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