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10

잔대 초롱꽃목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원산지는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이다 한국의 모든 산야에서 널리 자란다뿌리는 곧고, 줄기에 털이 있다 딱주라고 하며 한자어로는 사삼(沙蔘)이라고 불린다잔대의 약효가 인삼에 버금가며 모래땅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에서 붙여진 이름이다꽃말 : 감상, 은혜20241123꽃 담은곳 : 사방공원(흥해읍 오도리) 2024. 12. 4.
산박하 꽃말 : 추억20240828꽃 담은곳 : 금대봉 2024. 9. 11.
백두대간 야생화 트레킹 꽃말 : 연정 각시취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원산지는 대한민국이고, 동북시베리아나 내몽고에 분포해 있다꽃은 8월에서 10월에 걸쳐 핀다.꽃 담은곳 : 백두대간 금대봉 분주령 20240828             굿은비는 부슬, 부슬 내리고 운무와 안개는 온 산야를 휘감아 돌고,아름다운 백두대간의 함백산, 매봉산 등등 천상 화원 풍경은 아쉽게도  암흑 천지라 조망할수가 없네요..!! 2024. 9. 9.
고려엉겅퀴 꽃말 : 근엄, 권위, 닿지마세요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고려엉겅퀴’가 생물학적 명칭이다꽃은 엉겅퀴처럼 생겼으며 어린 순을 채취해서 나물로 먹는다곤드레나물은 독이 없고 맛이 달고 이뇨, 해독, 소염 작용이 있어 건강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이 글의 출처 : 다음백과 daum20240829꽃 담은곳 : 함백산 운탄 고도 2024. 9. 6.
붉은 토끼풀(red-clover) 꽃말 : 행복, 약속, 나를 생각해주오20240701꽃 담은곳 : 흥해읍 남미질부성 2024. 7. 5.
노루발풀 꽃말 : 소녀의 기도 일본과 한국, 중국이 원산지이며, 얕은 산지의 햇볕이 잘 안 드는 숲 속에 서식한다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하며, 크기는 약 26cm이다 식물 전체를 한방에서 피임이나 각기병 치료에 약재로 사용한다. 20240528흥해읍 초곡리 2024. 5. 31.
물레나물 꽃말 : 추억 물레나물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일본과 중국, 한국이 원산지이다 고산 햇빛이 잘 드는 산 비탈에 서식하며, 크기는 약 50cm~1m이다 식재료로 사용할 때에는 어린잎을 나물로 먹고, 효능으로는 지혈 등이 있다..!! 20230729 함백산 2023. 8. 13.
큰뱀무꽃 꽃말 : 만족한 사랑 큰뱀무는 키나 잎이 뱀무보다 약간 크다 또 작은 꽃자루에 퍼진 털이 있는 것이 뱀무와 다른 점이다 여기에서 ‘뱀’ 은 뱀과 관련이 있거나, 기준을 삼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르다는 뜻이다 또 줄기 밑에 달리는 잎의 생김새가 무 잎처럼 생겨 뱀무라고 한다. 20230623 꽃 담은곳 : 백두대간 금대봉 2023. 6. 28.
까마중꽃..? 꽃말 : 동심, 단 하나의 진실`이다. 20230601 마장지 감사 둘레길에서 감자꽃과 비슷하고 약초이며, 까만 열매는 먹기도 한단다 여름날 까맣게 달린 열매를 따 먹으면 달기도 하고 시기도 한 맛이 난다 먹을 것이 귀하던 시절, 허기를 달래는 데에는 참 좋던 식물들이다 까마중은 아주 좋은 약초로도 쓰이며 감기, 만성 기관지염이나 신장염, 고혈압, 황달, 종기, 암 등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근데 까마중꽃도 아닌것 같고 감자꽃도 아닌 듯 하고..흠 아리송 한데..? 2023. 6. 14.
쥐오줌풀 꽃말 : 허풍쟁이, 정열 학명은, ‘Valeriana fauriel Briq,이다. 뿌리줄기에서 쥐의 오줌과 같은 지독한 냄새가 난다고 해서 "쥐오줌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그 향이 한편으로 심신을 안정시키고 잠이 잘 오게 하기 때문에 수면제로 활용되고 있다 !! 20220604 태백산 2022. 6.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