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200

하얀 노루귀꽃 2025. 3. 14.
복수초 20250311발산리 2025. 3. 12.
청노루귀꽃 20250311댓골 2025. 3. 11.
봄의 전령사 `변산바람꽃` 꽃말 :`기다림, 덧없는 사랑`봄비가 내린다봄을 재촉하듯올해 두번째 출사에서 봄비를 흠뻑 맞은 야생화, 변산바람꽃을 담는다..!!20250302토함산 2025. 3. 2.
억새꽃 억새꽃말 : 은퇴옛 노래에 ‘으악새가 슬피 운다’ 는 구절이 있다여기서 으악새를 으악, 으악 하고 우는 새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는 억새가 몸을 부딪치며 내는 소리를 표현한 것이다으악새란 억새의 경기도 방언이다억새가 만발한 가을을 멋지게 표현한 노랫말이다   20241202흥해읍 서림 소지 2024. 12. 24.
해파랑 길 야생화 트레킹 미역취    구절초     쑥부쟁이    봄에 피는 철쭉이...?         칠포 해수욕장 맨발 트레킹20241123 2024. 12. 4.
잔대 초롱꽃목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원산지는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이다 한국의 모든 산야에서 널리 자란다뿌리는 곧고, 줄기에 털이 있다 딱주라고 하며 한자어로는 사삼(沙蔘)이라고 불린다잔대의 약효가 인삼에 버금가며 모래땅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에서 붙여진 이름이다꽃말 : 감상, 은혜20241123꽃 담은곳 : 사방공원(흥해읍 오도리) 2024. 12. 4.
가을 야생화 `미역취꽃" 미역취는 국화과에 속하며 취나물의 한 종류로서 흔히 개미취라고도 불리며 또는 일부에서는 돼지나물이라고도 한다미역취라는 이름의 유래는 이 나무의 잎을 이용하여 국을 끓이면 미역국 냄새가 난다고 하여,미역취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한방에서는 일지황화, 야황국, 만산황 등으로 불리며 신장, 방광염, 두통, 이뇨, 해열, 진해, 비뇨기 계통 및감기, 황달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항암효과도 있다고 한다미역취의 꽃말은 "경계, 섬색시'' 20241123꽃 담은곳 : 흥해읍 오도리 사방공원(갯마을 차차차 찰영지) 2024. 11. 28.
미역취 20241123사방공원 2024. 11. 23.
영남 알프스 능동산 십 수년만에 천황산 사자봉과 재약산 정상을 찌고 사자평으로 샘물상회를 돌아서 배내고개로 원점회귀 산행을 계획했는데...?그러나 가을 향기 상큼한 여유로운 발거름 이였는데, 결과는 참으로 아쉽지만 다음을 기약해 보자...!!20241024능동산에서 2024. 10. 31.